5월, 2022의 게시물 표시

<뉴욕증시-주간> 바닥 다지나…고용보고서 주목

이미지
  (뉴욕= 해외선물 대여계좌 ) 아이언파생 = 이번 주(5.31~6.2) 뉴욕 증시는 지난주 발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 이후 나온 안도 랠리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주초인 30일은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해 이번 주 거래일은 4일에 그친다. ​ 이번 주 시장의 관심사는 지난주 반등이 바닥을 확인한 랠리의 시작인지, 아니면 약세장에서 나오는 기술적 랠리에 불과한지다. ​ 지난 한 주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나스닥지수는 모두 6% 이상 올랐다. ​ 다우지수는 8주 연속 하락한 데서 반등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7주 연속 하락한 데서 반등에 성공했다. ​ JP모건에 따르면 지난 25일로 끝난 한 주간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로 260억 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돼 6주 연속 자금 유출을 겪은 데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 앞서 골드만삭스는 시장의 바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이 충분히 이뤄졌다는 신호를 봐야 한다며 연준은 성장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기 전까지는 이러한 신호를 주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 주목할 점은 시장이 최근 발표된 FOMC 의사록이 예상보다 공격적이지 않았다는 점과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둔화한 점에 반응했다는 점이다. ​ 시장은 그동안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이 경기를 침체로 몰아갈 것으로 우려해왔다. 그러나 연준은 앞으로 두 차례 회의에서 0.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이후에는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점을 시사했다. 긴축의 강도가 약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진 것이다. ​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가을께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 속도에 맞춰 금리 인상 폭이 0.25%포인트로 낮아지거나 금리 인상이 일시 중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