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2의 게시물 표시

[亞증시-종합] 중앙은행 부양의지·경제재개 기대에 상승

  (서울= 해외선물 대여계좌 ) 코인선물 ​ = 18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경제 재개 기대와 중국 인민은행의 경기부양의지 등에 기대어 상승했다. 일본은 '바다의 날'으로 이날 하루 휴장했다. ​ ◇ 중국 = 중국증시는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경기부양 의지를 확인하며 상승 마감했다. ​ 연합인포맥스 세계주가지수(화면번호 6511)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55% 상승한 3,278.10, 선전종합지수는 1.48% 오른 2,191.96에 거래를 마감했다. ​ 업종별로 살펴보면 상하이에서는 에너지업종이 4% 이상 올랐고 탐사 및 시추, 천연자원, 상품관련주가 3% 이상 상승했다. ​ 선전에서는 환경보호 관련 산업과 부동산 업종이 각각 4.50%와 4.15% 올랐고 공공서비스, 에너지섹터 등이 3%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이강 인민은행장은 15~16일에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중국 경제가 팬데믹과 대외충격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이어 실물경제를 더 강력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 "온건(穩健)한 통화정책의 시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이날 인민은행은 7일 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120억 위안어치 매입했다. ​ ◇ 홍콩 = 홍콩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2.70% 오른 20,846.18, 항셍H지수는 3.03% 오른 7,168.89에 거래를 마감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기대 이하로 나오면서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부동산 개발회사들은 정부 당국의 방향이 신용 완화와 주택위기 경감으로 기울면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 ◇ 대만 = 대만증시는 미국 소매판매가 개선된 데 더해 국경 통제가 완화된다는 소식에 상승 마감했다. ​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전장 대비 169.02포인트(1.16%) 오른

뉴욕증시, FOMC 의사록 확인 후 상승…다우 0.23%↑마감

  (뉴욕= 해외선물   대여계좌 )  코인선물 ​  = 뉴욕증시는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 발표 이후 이벤트 해소에 따른 안도감에 상승했다. 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86포인트(0.23%) 오른 31,037.68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69포인트(0.36%) 상승한 3,845.08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9.61포인트(0.35%) 뛴 11,361.85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과 경기침체 우려, 국채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다. 연준은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7월 회의에서도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준이 발표한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다음 회의에서 0.5%포인트 혹은 0.75%포인트의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고 판단했다. 위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경우 훨씬 더 제약적인 기조가 적절할 수 있다"라고 언급해 인플레이션 억제에 실패할 경우 더욱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연준은 성장이 둔화하더라도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위원들은 "정책을 확고히 하는 것이 당분간 경제 성장 속도를 둔화시킬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 것이 지속 가능한 완전고용을 달성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판단했다"라고 의사록은 전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6월 회의 후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7월에는 0.50%포인트나 0.75%포인트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국채와 달러화로 자금이 몰리면서 최근 국채와 달러화 가치가 크게 올랐다. 그